-
무더운 여름, 계속되는 폭염에 에어컨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오늘은 에어컨의 '제습' 기능과 '냉방' 기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두 기능의 전기세 차이도 비교해 보려고 합니다. 에어컨의 제습 모드에 대해 잘 모르셨던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에어컨 제습 모드와 냉방 모드 차이
제습 모드와 냉방 모드는 돌아가는 알고리즘에 차이가 있습니다.
냉방 모드는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가 꺼지고, 송풍 모드로 전환됩니다. 이 때, 냉각기에 맺힌 물이 바람을 통해 실내로 나오며, 가습기같은 효과가 발생합니다.
반면 제습 모드는 냉방 모드보다 냉각기 온도를 낮추고, 바람 세기를 약하게 설정합니다. 이로 인해, 제습 기능이 향상되며, 온도 또한 낮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에어컨 제습 모드는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합니다.
삼성전자의 에어컨 제습모드 VS 냉방모드 실험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실험 (가정용 인버터 에어컨의 제습효율 및 쾌적성 향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에서는 제습모드와 냉방모드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한 적이 있는데요.
실험 결과, 제습 모드는 냉방 모드에 비해 평균 온도가 조금 더 낮게 유지되었습니다.
초반 20분간의 소비전력은 제습 모드가 냉방 모드보다 높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습 모드의 소비전력이 더 낮아졌습니다.
특히, 제습 모드는 냉방 모드에 비해 습도를 훨씬 효과적으로 낮추었습니다.
2시간 후, 습도 차이는 20% 가까이 났고, 제거된 물의 양도 제습 모드가 냉방 모드보다 3.5배나 많았다고합니다.
불쾌지수를 계산해보면, 냉방 모드는 10명중 5명 정도 불쾌함을 느낄 정도고, 제습모드는 10명중 1명이 불쾌함을 느끼는 정도입니다.
제습모드를 잘 모르셨던 분들이 참고하시면 좋을만한 실험이죠.
에어컨 제습 모드 vs 냉방 모드 전기세 차이
냉방모드와 제습모드의 전력소비량 비교 그래프. / 대한설비공학회 논문집 그렇다면 제습 모드와 냉방 모드 중 전기세를 더 절약할 수 있는 모드는 무엇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습한 날에는 제습 모드가, 건조한 날에는 냉방 모드가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삼성전자의 실험 결과에 따라 전기세를 예측할 수 있는데요.
실험에 따르면, 초반 20분간의 소비전력은 제습 모드가 냉방 모드보다 높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습 모드의 소비전력이 더 낮아졌습니다.
이는 제습 모드가 냉방 모드에 비해 냉각기 온도를 더 낮게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습도가 높은 날에는 제습 모드가 냉방 모드보다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습도가 낮은 날에는 냉방 모드가 제습 모드보다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제습 모드는 냉각기 온도를 낮게 유지하기 때문에, 건조한 날에는 제습 효과가 크게 필요하지 않은데도 불필요하게 전력을 사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습도가 낮은 날에는 냉방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전기세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요약) 에어컨 전기세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 습한 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위해 냉방 모드 대신 제습 모드를 사용하세요.
- 온도와 습도 모두 높은 상황에서는 먼저 냉방 모드로 실내 온도를 낮춘 후, 제습 모드로 변경하세요.
- 제습 모드가 너무 춥게 느껴진다면, 온도를 1-2도 높게 설정하거나 절전 모드로 변경하세요.
에어컨 전기세 확인 하는 법
실제로 에어컨 사용 전기세 확인하는 법은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알 수 있습니다.
마치며
에어컨 제습 모드와 냉방 모드의 차이를 이해하고, 제조사별 알고리즘을 숙지하면 에어컨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전기세를 아낄 수 있습니다. 올여름, 전기세 걱정 없이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어보세요!